/* 드롭다운 토글 스크립트 */

개발자가 초기 스타트업에 집중해야하는 이유 (1) 성장

안녕하세요. 그룹바이입니다.
지금까지 100명이 넘는 개발자를 만나보면서 느낀 개발자가 초기 스타트업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개발자의 이야기를 듣고 해석한 내용이라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학교나 부트캠프는 졸업했지만..

 

최근 많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부트캠프는 이슈인 것 같습니다.
비전공자가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서 부트캠프가 필수인 것 같은 인식이 생기기도 하였는데요.

아쉽지만 부트캠프를 수료했다고 해서, 모두가 네카라쿠배에 가는 것은 아닙니다.
취직을 위해 학원을 계속 다니거나 스터디,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다가
현실적인 장벽에 중견기업, SI 기업으로 어쩔 수 없이 가는 현상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시장은 3년차 이상의 경력자를 선호

 

시장이 나라는 개발자를 원하는 시점은 언제일까요? 현재 채용시장은 3년 차 이상의 경력자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커리어를 잘 쌓았다는 가정하에 3년 차 이상부터는 취직은 크게 어렵지 않다고 합니다. 
그러나 3년차까지 좋은 커리어를 쌓기는 정말 어렵죠. 

 

코딩만 잘하면 커리어를 잘 쌓는 걸까?

 

일을 잘한다고 평가받고 연봉이 오르는 개발자는 어떤 능력이 있을까요?
물론, 코딩 실력도 갖춰야 하지만 이들은
문제를 발견하고 스스로 해결하는 법을 찾을 수 있는 개발자일 확률이 높습니다.

개발자는 단순히 코딩하는 사람이 아니라, SW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사람이라고 많은 CTO와 개발팀장님이 말씀하시곤 합니다.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려면..?

 

투자 단계가 시리즈 A 이하인 스타트업의 근무 경험이 도움이 됩니다. 
투자 단계가 높은 대형기업에 가면 직원도 많고 하는 일이 정해져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특히 신입과 주니어)

물론, 하는 일이 정해져 있어서 적응하기도 쉽고 배울 수 있는 것도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회사 일만 한다면,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개발자가 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회사 by 회사)

**좋은 개발 문화와 리더가 있는 시리즈 A 이하 단계 스타트업에서는,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모든 과정에 신입과 주니어도 비교적 높은 참여가 가능합니다. **

이때 개발 팀장님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나가는지 배우고, 직접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해나가면서 능동적인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많은 스타트업 CTO님들은 주니어일수록 시리즈 A 단계 스타트업에서 커리어를 시작하는 것이
능동적인 개발자로 성장하기 좋을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나 초기 스타트업에는 Risk가 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에 합류하는 것은 많은 걱정과 불안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스타트업마다 사람과 문화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많은 요소를 확인하고 신중하게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초기 스타트업을 선택해야 할까요?

 

다음 글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

그룹바이 스카우트 제안을 받아보세요!

프로필 등록을 완료한 인재들이 매월 1천여개의 스카우트 제안을 받고 있어요

공유하기

Scroll to Top